맥주 - 산토리 프리미엄 몰츠 (5.5도) 도수: 5.5% 홋카이도 오타루 칸타로에서 회전 초밥과 함께다양한 초밥과 함께 먹기 좋은 깨끗한 맛 http://eatch.net/199 오사카 고기극장에서 고기 덮밥과 함께느끼한 고기 덮밥과 함께 시원하게 소주 - 한라산 올래 (18도) 도수: 18%용량: 360ml(제주도)/375ml(제주 도외)(관련 기사: http://biz.newdaily.co.kr/site/data/html/2017/06/20/2017062010089.html) 서울대입구/낙성대 낙성푸줏간에서 먹은 한라산 올래좋은 갈비살과 함께 먹는 순한 한라산 https://dardao.tistory.com/213 사케 - 나마죠조 (14도) 도수: 14%용량: 300 ml 서울대입구 사사꼬에서 먹은 나마죠조모듬사시미와 함께 사케 한 잔http://eatch.net/176 막걸리 - 사선 생막걸리 (6도) 도수: 6%용량: 750ml 봉천 장군집에서 먹은 사선 생막걸리전주식 한상과 함께 먹는 생막걸리https://dardao.tistory.com/189 맥주 - 삿포로 클래식 (5도) 1985년에 발매되어 홋카이도 지역 한정으로 판매되는 맥아 100%의 맥주도수: 5.0% 다루마6.4에서 먹은 삿포로 클래식 생맥주징기스칸 양갈비와 함께 먹는 삿포로 클래식 https://dardao.tistory.com/206 비에이 준페이에서 먹은 삿포로 클래식 생맥주최고의 새우튀김과 먹는 삿포로 클래식https://dardao.tistory.com/196 삿포로 난다 해산물 뷔페에서 먹은 삿포로 클래식 생맥주https://dardao.tistory.com/201 삿포로 스아게 플러스에서 먹은 삿포로 클래식 생맥주https://dardao.tistory.com/194 막걸리 - 장수 생막걸리 (6도) 도수: 6%용량: 750ml 봉천 진리집에서 두부김치와 함께진리집 - https://eatch.net/308 종로 서울식품에서 굴전과 함께종로 서울식품 - https://eatch.net/349 마포구청 굴마을에서 먹은 장수생막걸리촉촉한 굴전과 함께 https://eatch.net/237 맥주 - 기린 이치방 시보리 생맥주 (5도) 도수: 5%용량: 300ml 서울대입구 지구당 규동에서 오야꼬동과 함께지구당 규동에서 딱 한 잔씩만 파는 생맥주http://eatch.net/246 매실주 - 매취순 (14도) 도수: 14%용량: 375ml 집에서 먹은 매취순보해 매원에서 수확한 매실을 95% 고순도 주정으로 침출시킨 후 5년간 숙성시켜 만든다. 나무위키에 의하면 삼성 이건희 회장이 자신의 수필집 에 이 매취순에 대한 찬사를 담아 화제가 된 적 있다. 단순히 매실주에 그치지 않고 "5년간 숙성과정"을 거침으로써 타경쟁사들이 추격에 나선다 해도 숙성에 필요한 5년은 따라잡기 힘든 간격이라는 요지 올해의 음식들 - 2018 재미로 정리해보는 올해의 음식들 1. 낙성대 사시사철 흑염소오리의 능이오리백숙- 식사 겸 안주 겸 보약http://eatch.net/126 2. 서울대입구 돼지마을 포차의 부추전- S급 부추전 (기복이 좀 있는 듯)http://eatch.net/122 3. 망원 미자카야의 나스덴가쿠- 완벽하게 어울리는 다양한 재료들(가지, 고기, 미소, 치즈)http://eatch.net/136 4. 태국 길거리의 (백종원)팟타이- 아줌마의 힘, 팟타이의 끝..http://eatch.net/179 5. 봉천 최희성고려왕족발의 마늘족발- 제대로 된 마늘 소스란http://eatch.net/187 6. 신촌 마포소금구이- 소주를 먹는다면 이런 곳에서http://eatch.net/191 7. 삿포로 스아게플러스의 스프카레- .. 낙성대 연안식당 - 꼬막비빔밥 12월 말 바야흐로 꼬막이 제철인 것을 조금만 걸어다녀도 알 수 있는데 여기도 꼬막 저기도 꼬막 데친 꼬막은 어느 정도 배가 찬 2차 이후의 술자리에서 즐겨 먹는 안주 중 하나인데, 그래서 꼬막에 대해 잠시.. ※ 꼬막에 대해 우선 꼬막의 제철은 11월부터 3월까지이다. 다양한 조개의 종류 중 꼬막은 대체로 세 가지가 있는데 그림에 나와 있듯이 새꼬막, 참꼬막, 피꼬막(피조개)이 있다. 크기는 보통 참꼬막 < 새꼬막 < 피꼬막(피조개) 순으로 참꼬막이 가장 작은데, 크기가 아니라 껍질의 골의 수에 따라 더 정확히 구별할 수 있다. 자료에 따라 조금은 다르지만 대체로 참꼬막은 골의 개수가 17-20개, 새꼬막은 30-34개, 피꼬막은 41-43개 정도라고 한다.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서식하는 영역.. 이전 1 ··· 25 26 27 28 29 30 31 ··· 46 다음